2020.07.07
※ 1차 사전예고 시 공고된 내용(블록별 건축사사무소 지정, 전문가 자격요건 및 인센티브) 포함
※ 이번 공고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1차 사전예고를 참고
한국토지주택공사
1. 공모규정
1.1. 공모명칭 1
1.2. 공모목적 1
1.3. 공모개요 1
1.4. 공모방식 2
1.5. 응모자격 및 제한 2
1.6. 공모일정 4
1.7. 응모절차 4
1.8. 사전공개설명회 6
1.9. 질의응답 6
1.10. 작품제출 6
1.11. 심사 7
1.12. 당선작 선정 8
1.13. 인센티브 8
1.14. 설계계약 9
1.15. 지적재산권 9
1.16. 작품전시 및 반환 9
2. 주요특화설계방향
2.1. 기본방향 10
2.2. 설계방향 11
2.3. 특화방안 11
2.4. 모티브 구현을 위한 5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등 12
2.4.1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13
2.4.2 일반 주거동 계획 13
2.4.3 옥외공간 13
2.4.4 Outdoor Furniture 14
2.4.5 부대복리시설 15
2.4.6 기타사항 15
3. 제출도서 및 작성기준
※ 본공고 참조
4. 공모지침
※ 본공고 참조
공모규정
공모명칭
경산대임 A-5,6,7BL 공동주택 설계용역 [컨소시엄 A]
경산대임 A-8,9,B-1BL 공동주택 설계용역 [컨소시엄 B]
공모목적
◈ 법적‧일반적 통념의 범위 내에 보편적 기준으로 자리잡은 주거공간이 기존의 획일적 개념에서 벗어나,
◈ “우리만의 주거공간으로서 기대하는 다양한 니즈와 양상”을 공간적 상상력을 통하여 품어낼 수 있도록
◈ 지역만의 이야기·수요자 분석·정체성 마인드맵 등, 일반건축에 주로 고려되던 다양한 “건축적 모티브”를 제공하는 공모 방식을 추진함으로서
|
공모개요
지구개요
구분 |
블록 |
사업면적(㎡) |
사업유형 |
세대수 |
용적률 |
최고 층수 |
주차 대수 |
||
합계 |
55㎡ (74㎡) |
59㎡ (84㎡) |
|||||||
컨소시엄 A |
A-5BL |
39,458 |
신혼희망타운 |
867 |
683 |
184 |
180 |
30 |
1.2대/호 |
A-6BL |
24,910 |
신혼희망타운 |
516 |
416 |
100 |
170 |
25 |
1.2대/호 |
|
A-7BL |
26,717 |
신혼희망타운 |
588 |
468 |
120 |
180 |
25 |
1.2대/호 |
|
소계 |
91,085 |
|
1,971 |
|
|
|
|||
컨소시엄 B |
A-8BL |
28,743 |
신혼희망타운 |
629 |
525 |
104 |
180 |
30 |
1.2대/호 |
A-9BL |
31,806 |
신혼희망타운 |
697 |
573 |
124 |
180 |
30 |
1.2대/호 |
|
B-1BL |
15,816 |
공공분양 |
256 |
(188) |
(68) |
170 |
25 |
1.2대/호 |
|
소계 |
151,634 |
|
3,297 |
|
|
|
※ 사업유형은 등은 향후 조정될 수 있음.
설계용역비
[컨소시엄 A:경산대임 A-5,6,7BL 공동주택 설계용역] 총 87.3억원
(단위: 백만원)
블록 |
계 |
건․기․토 |
전기통신 |
소방(기계) |
소방(전기) |
조경 |
추가과업 |
비고 |
A-5 |
4,201 |
3,179 |
418 |
197 |
48 |
171 |
188 |
부가세 포함 |
A-6 |
2,151 |
1447 |
282 |
132 |
33 |
120 |
137 |
|
A-7 |
2,379 |
1,806 |
260 |
30 |
122 |
105 |
56 |
|
합계 |
8,731 |
6,432 |
960 |
359 |
203 |
396 |
381 |
[컨소시엄 B:경산대임 A-8,9,B-1BL 공동주택 설계용역] 총 75.2억원
(단위: 백만원)
블록 |
계 |
건․기․토 |
전기통신 |
소방(기계) |
소방(전기) |
조경 |
추가과업 |
비고 |
A-8 |
2,469 |
1,760 |
324 |
152 |
38 |
138 |
57 |
부가세 포함 |
A-9 |
3,603 |
2,844 |
351 |
165 |
41 |
143 |
59 |
|
B-1 |
1,447 |
971 |
191 |
87 |
22 |
79 |
97 |
|
합계 |
7,519 |
5,575 |
866 |
404 |
101 |
360 |
213 |
※ 실내디자인, 환경/색채디자인 설계업무 비용 포함,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예비인증비, 녹색건축 예비인증비 등 각종 인증 포함
※ 주택설계용역 계약 전 설계, 실내디자인, 환경/색채디자인 설계업무 등 과업내용 또는 업무대가 기준 등의 변경으로 설계용역비가 조정될 경우 계약시 반영한다.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령 및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에 의한 수의계약절차를 준수하여 당선작으로 선정된 업체(당선자)와 상기 용역비로 계약
※ 지반조사 및 도시가스 제외, 부가세 및 손해배상공제비 포함
공모방식
본 설계공모는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제21조 제2항에 의한 건축설계공모 방식으로 시행한다.
응모자격 및 제한(중요)
건축사법 제23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사사무소 등록업체에 한해 응모할 수 있다.
(전기 및 정보통신분야, 소방분야(각 블록별 1개사), 조경분야 분담이행 방식(컨소시엄별 1개사)으로 응모, 관련분야 자격 요건 갖춘 경우 제외)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한 외국건축사 면허취득자와 공동으로 설계업무를 수행할 경우는 주계약자를 국내건축사로 한정한다.
공고일 현재 등록취소, 영업정지, 자격정지 또는 휴업중인 건축사사무소 또는 건축사는 응모할 수 없다.
공동응모(분담이행방식 포함)의 경우 대표자(1인)를 지정하여야 하며, 동일 건축사사무소내 공동 대표일 경우에도 대표자(1인)를 지정하여야 한다.
공동응모에 따른 책임과 권리사항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건설기술진흥법 및 정부계약예규 등의 관련규정에 따른다.
건축사사무소의 공동응모 시(각 컨소시엄별) 대한건축사협회 등록 기술자수 100인 이상인 업체(본공고일 기준)는 상호 공동이행을 금지(이에 따른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음)한다.
각 컨소시엄별 3~5개사가 참여하여야 하며, 컨소시엄 B의 경우 대한건축사협회 등록 기술자수 20인 이하인 업체가 필수로 참여하여야 한다.(위반시 탈락)
* 블록별 설계금액에 맞추어 지분율을 설정하고 블록별 건축사사무소를 지정 및 응모 시 제출
각 컨소시엄 구성 시 예술 및 인문분야 전문가(색채 및 재료, 시각디자인, 인문학) 각 1인(전체3인) 이상이 참여한 업무수행계획서를 작품 접수 시 제출하여야 한다.(위반시 감점)
<전문가 자격요건>
- 디자인, 스토리 공간화 및 정체성 구현 등에 실질적 도움과 자문이 가능한 전문가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자
․ 대학의 조교수급 이상으로 석사학위를 소지하고 해당분야의 5년 이상 경험이 있는 사람
․ 관련 학․협회, 연구기관에 소속된 해당분야 관련업무 임원 또는 석사학위를 소지한 자 이상으로 해당분야 5년 이상 경험이 있는 사람
․ 관련 자격증 또는 석사학위 이상의 자로서 해당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경험이 있는 사람
․ 기타 이와 준하는 자격 또는 경력 이상인 자
* 자격 해당여부 등에 관해서는 발주처에 선확인 후 진행
공고일 현재 연간 우리공사 공동주택 현상설계 및 건축물 현상설계 용역[기술공모형 입찰 (공공임대리츠), 민간공동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19년 제외) 등 제외] 당선건수가 아래 표의 “2020년 당선가능 건수” 이상인 업체는 응모할 수 없으나, 본 공고일 이전에 추가당선기회(최대1건/1년)를 부여받은 업체는 응모 가능하다. 단, 공모 활성화를 위하여 컨소시엄별 1회(1개업체)에 한하여 부득이한 경우 작품제출 1개월 이전(2020.08.17(월) 16:00까지)까지 공동응모업체를 변경할 수 있다.(주관사 제외, 변경신청서(사유포함) 제출 필수)
동반성장형 추가당선기회(α2)의 경우 현 공고시점 사용이 불가하다.(“2020년 공공주택 설계추진방안”의 설계용역계획 물량의 75% 미충족)
당선일 기준으로 수주제한 건수가 충족되면 작품이 접수되어 있을 경우에도 후속심사대상에서 제외한다.(각 컨소시엄별 2개 이상의 응모업체로부터 현상공모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서가 제출되지 않을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작품이 접수·심사되지 않을 경우에는 재공고한다.)
설계업체 평가결과 (‘20년발표) |
2020년 당선가능 건수 |
비고 |
|||
건축 |
전기통신, 소방(전기) |
소방(기계) |
|||
S등급 |
최상위 5% |
3건(+α) |
5건(+α2) |
9건(+α2) |
· (+α) : 추가당선기회, 년간 1건으로 제한 |
A등급 |
상위 15% |
||||
B등급 |
중위 60% |
2건(+α) |
4건(+α2) |
6건(+α2) |
|
C등급 |
하위 15% |
1건(+α) |
3건(+α2) |
3건(+α2) |
|
D등급 |
최하위 5% |
구 분 |
대상건수 |
비고 |
추가당선기회 |
α = 최대 1건 (α=α1+α2) |
α |
추가당선기회 부여 업체 |
α1 = 3개 업체 |
① |
동반성장형 응모기회 |
α2 = 동반성장형 추가당선기회 부여 |
② |
설계업체 평가결과 (‘20년발표) |
2020년 당선가능 건수 |
비고 |
|||
건축 |
전기통신, 소방(전기) |
소방(기계) |
|||
S등급 |
최상위 5% |
3건(+α) |
5건(+α2) |
9건(+α2) |
· (+α) : 추가당선기회, 년간 1건으로 제한 |
A등급 |
상위 15% |
||||
B등급 |
중위 60% |
2건(+α) |
4건(+α2) |
6건(+α2) |
|
C등급 |
하위 15% |
1건(+α) |
3건(+α2) |
3건(+α2) |
|
D등급 |
최하위 5% |
구 분 |
대상건수 |
비고 |
추가당선기회 |
α = 최대 1건 (α=α1+α2) |
α |
추가당선기회 부여 업체 |
α1 = 3개 업체 |
① |
동반성장형 응모기회 |
α2 = 동반성장형 추가당선기회 부여 |
② |
1) 주택설계․기술경진대회 상위업체 - ‘19년 주택설계․기술경진대회 미당선업체 중 상위업체(3개업체) - 적용기간 : ‘20.01.01 ~ ‘21.03.31 2) 국토부 주관 건축상 수상업체 - ‘19년 국토부 주관 건축부문 건설‧설계경기 수상업체(없음) - 적용기간 : ‘20.04.01 ~ ‘21.03.31
② α2 : 업체 간 경쟁 유도와 동반성장을 위해 “2020년 공공주택 설계추진방안”의 설계용역 계획 물량의 75% 초과 공고 시 모든 응모업체에 동반성장형 응모기회 부여. (단, α1을 사용하여 추가당선된 업체는 제외(해당 시점 시 COTIS에 사전 공고)
기타 응모제한 사항은 본공고를 참조한다.
공모일정
구분 |
내용 |
비고 |
본공고 |
2020. 07. 17(금) |
|
사전공개설명회 |
2020. 07. 16(목) 14:00 |
|
응모신청 및 작품제출 확약서 제출 |
2020. 07. 17(금) ~ 07. 24(금) 16:00까지 |
|
질의접수 |
2020. 07. 20(월) ~ 08. 05(수) 16:00까지 |
|
질의회신 |
2020. 08. 07(금) |
|
작품접수 |
2020. 09. 15(화) 16:00까지 |
|
사전검토 / 의견서작성 |
본공고 참조 |
|
심 사 |
컨소시엄 A : 2020. 09. 23(수) 14:00 컨소시엄 B : 2020. 09. 24(목) 14:00 |
|
당선작 발표 |
2020. 09. 29(화) |
|
현상공모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서 접수
신청방법 : Fax, E-mail, 방문신청 가능
신청일시 : 2020. 07. 17.(금) ~ 07. 24(금) 16:00까지
방문신청장소 : LH 본사(진주) 본관 8층 미래주택기획처 신혼희망타운사업2부
위 치 : 경상남도 진주시 충의로 19 (충무공동 227-2)
FAX : 055-922-5640 (E-mail/Fax접수 시 확인전화 필수)
전 화 : 055-922-5633 * E-mail주소 : smkim07@lh.or.kr
응모절차
신청방법 : 현상공모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서 1부, 사전접촉 금지 서약서 제출(서식은 본공고 참조)
※ Fax, E-mail, 방문신청 중 택일하되, Fax 또는 E-mail 신청시 접수완료 여부를 유선 확인하여야 하며,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시 응모신청 및 확약서 접수증을 반드시 수령(Fax, E-mail 가능)하여야 한다.
일시 및 접수처 : 1.6 공모일정 참조
응모등록을 하지 않은 업체는 설계공모에 참여할 수 없다.
연간 당선 2회 이후 추가 당선기회를 사용하고자 하는 업체는 관련문서, 심사결과, 수상내역 등 증빙서류를 응모신청시 제출하여야 한다.
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 후 작품접수일에 작품을 제출하지 않은 응모신청자는(현상공모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서에 공동응모자로 기재 후 작품접수에 참여하지 않는 자 포함) 작품접수일로부터 6개월간(공고일 기준) 우리공사에서 공고하는 건축설계용역의 참여를 제한하며, 현상공모응모신청 및 작품제출확약서 제출 후 수주제한 건수 충족으로 작품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참여제한을 하지 않는다.
전기 및 소방분야 사업수행능력평가 서류 제출(소방분야 평가대상지구)
(전기 및 소방분야 추정가격이 정부고시금액 이상인 경우에 한함)
사업수행능력평가 서류(본 공고시 별첨 자료 참조) 1부 제출 (E-mail, 방문제출)
제출일시 및 접수장소 : 본공고 일반지침 참조
* 평가결과 이의제기 시 재심사 실시하며 재심사 완료 즉시 재심사 결과 개별통보
* 재선정업체 서류제출접수 후 재평가 실시하며 제안서 제출기한내 결과 통보
* LH 홈페이지에 등재되어있는 신청서 작성예시를 참고하여 작성하며, 신청서와 함께 해당파일을 저장한 USB 및 담당자 명함(서류보완시 필요) 제출)
※ LH홈페이지→ 전자조달 → 고객센터 → 자료실 → 전기설계용역 사업수행능력평가지침 및 소방공사 설계 감리용역 사업수행능력평가지침을 다운로드(가장 최신 버전) 후 관련 신청서류 작성 및 제출 (http://ebid.lh.or.kr) ※ 서류제출시 필히 제본하여 제출할 것 ※ <소방공사 설계감리용역 사업수행능력평가 지침 제출서류 외 추가제출 서류> 1. 소방기술자의 부실벌점에 관한 확인서(협회발급) 2. 기술개발실적(특허,실용신한) 관련 증빙서류[최초출원(지정)일 및 최초출원(지정)자 포함] ※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변경사항> 1. “라. 3)교육실적”은 국민안전처 인정 교육제도가 시행되기 전까지는 평가를 한시적으로 유예[만점(3점) 적용] |
사업수행능력평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응모자는 설계공모 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한다.
전기 및 소방분야 사업수행능력 (소방분야 평가대상지구)
사업수행능력평가 결과, 전력기술관리법시행규칙 제27조의2의 규정 및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제23조의2와 설계업자·감리업자의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제10조 및 소방공사 설계·감리용역 사업수행능력평가기준 제6조에 의한 입찰참여자격 점수 이상을 얻어야 한다. 점수를 얻지 못할 경우 1회에 한해 새로운 전기 및 소방분야 설계업 등록업체를 선정, 동일한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일 시
구분 |
일정 |
비고 |
- 서류제출 |
본공고 일반지침 참조 |
|
- 사업수행능력평가 |
서류접수 후 평가실시 |
|
- 평가결과통보 |
평가완료 후 개별통보 |
|
- (부적격 통보시) 평가결과 이의제기 |
결과통보 후 3일 이내 |
|
- (부적격 통보시) 재선정업체 서류제출 |
결과통보 후 3일 이내 |
사전공개설명회(중요)
설명내용 : 지구현황, 계획설계방향, 스토리 키워드, 주요 설계지침 및 유의사항 등
일시 및 장소 : 2020. 07. 16.(목) 14:00 (LH 경기지역본부 3층 대회의실(319호))
* 공개설명회를 통해 공모취지와 계획방향을 설명할 예정으로 사전에 공개설명회 참가 신청(유선 또는 e-mail)하여 주시고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 Tel. 055-922-5636, E-mail : romeosoo@lh.or.kr
질의응답
질의회신 일정 : 1.6 공모일정 참조
응모등록한 업체는 당해 설계지침서의 내용 중 의문사항이나 기타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서면 또는 Email로 질의할 수 있다. (본공고 서식 참조)
접수된 질의에 대한 응답서는 우리공사 인터넷 홈페이지(설계용역업무지원시스템 http://cotis.lh.or.kr)에 게시한다.
Email 등에 의한 질의접수가 전송오류 등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와 질의자의 인적사항 등 질의서상의 기재사항이 누락된 질의에 대하여는 응답하지 아니할 수 있다.
현상공모 서면질의회신서에 기재한 내용은 설계공모지침서 및 제공도서의 추가 또는 수정으로 간주한다.
작품제출
제출일시 및 장소 : Ⅰ.6 공모일정 참조
작품제출시 구비서류
응모신청 및 확약서 접수증
현상공모작품접수서(본공고 서식 참조)
건축사업무신고필증 1통
대표건축사 인장(본인 신청시 서명가능)
대표자 선임서(본공고 서식 참조, 해당자에 한함)
참여 외부전문가 신고서(본공고 서식 참조, 해당자에 한함)
공동수급표준협정서(본공고 서식 참조, 해당자에 한함)
서약서(본공고 서식 참조)
사전접촉 금지 확인서(본공고 서식 참조)
자문 등 전문가 참여 설계수행계획서(색채 및 재료, 시각디자인, 인문학 전문가 참여)
- 본용역에 참여 예정인 전문가(색채 및 재료 + 시각디자인 + 인문학) 서명 필수
- 해당 과업 수행을 위한 조직도, 시점별 업무계획(공정표 등) 작성(본공고 참조)
※ 수행계획서 제출·이행 확인을 위한 용도이며, 심사평가배점 사항 아님
제출하는 구비서류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는 표기하지 않아야 한다. 불가피하게 표기해야 할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는 아래 예와 같이 표기 하여야 한다. 다만, 자격증 등 공인증명서에 표기된 개인정보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예) 주민등록번호는 900101-1******
심사
사전검토
관련법규 및 지침 위반여부를 공사 전문가가 사전 검토하여 업체별로 검토결과에 대한 참여 책임건축사의 확인 후 심사위원회에 보고한다.
※ 책임건축사를 대신하여 사전검토결과를 확인할 경우는 위임장을 지참해야 함(본공고 서식 참조)
작품설명(PT) 자료가 제출한 작품도집과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심사위원회에 제출한다.
의견서 작성
제공된 모티브요소(이야기, 수요분석집, 마인드맵, 특화 계획설계 등)의 구현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심사 시 참고자료로 제공예정(본공고 참조)
심사
연번 |
심사위원 |
비 고 |
|
소속 |
성명 |
||
1 |
강원대 |
서규덕 |
|
2 |
동아대 |
성이용 |
|
3 |
서울주택도시공사 |
김길상 |
|
4 |
건국대 |
정태용 |
|
5 |
충북대 |
심규영 |
|
6 |
LH |
김남훈 |
|
7 |
LH |
임재영 |
|
8 |
목포대 |
유창균 |
예비1 |
9 |
경남과기대 |
정경태 |
예비2 |
연번 |
심사위원 |
비 고 |
|
소속 |
성명 |
||
1 |
삼육대 |
이규일 |
|
2 |
인천대 |
이태영 |
|
3 |
한국도로공사 |
이철명 |
|
4 |
인제대 |
김기연 |
|
5 |
충남대 |
김영석 |
|
6 |
LH |
정광욱 |
|
7 |
LH |
강병직 |
|
8 |
남서울대 |
이광영 |
예비1 |
9 |
계명대 |
이성근 |
예비2 |
작품설명(PT) 자료가 제출한 작품도집과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심사위원회에 제출한다.
세부평가기준 본공고 설계지침 참고
질의응답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시 심사위원회에서 질의응답을 시행한다.
심사일시 및 장소
심사일시 : 컨소시엄 A - 2020. 09. 23.(수) 14:00
컨소시엄 B - 2020. 09. 24.(목) 14:00
심사장소 : LH 본사 3층 회의실1
심사위원회 작품 설명
설명자료는 ppt 확장자 형식의 파일로 작성(마스터 사용은 금지하며 배경은 그림이 없는 백색 또는 흑색 중 선택)한다.
제출된 설계도집 및 특화 계획도집의 내용을 변경 없이 사용하여야 한다.
* 불허항목 : 색변경, 페이지 내 이미지 요소 위치변경, 페이지 순서변경, 음영, 동영상, 플래시 소리추가 및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일러스트 등 일체의 편집
* 색상 : 내용물은 제출된 설계도집 및 특화 계획도집과 동일한 색상 사용
컨소시엄별 20페이지(표지,목차 제외) 이내로 작성하고, 작품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설명자는 공고일 이전부터 재직하고 작품계획에 참여한 주관설계사 또는 공동응모업체 임직원에 한하며, 발표당일 재직기간이 명기된 재직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작품별 설명시간은 15분 이내이고 질의응답은 5분 이내로 하되, 작품수 및 작품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설명은 익명성을 유지하고 제출한 작품설명서 내용을 중심으로 작품특징 및 설계의도로 한정(타 작품과 비교설명 금지)한다.
당선작 선정
심사결과는 심사종료 이후 LH홈페이지 등에 게시하고 수상작에 한해 개별 통지한다. 입상작의 종류와 보상 내용은 다음과 같다.(예정설계비의 10%, 최대 2억원 범위 내)
구분 |
제출작품수 |
비 고 |
|
2개 |
3개 이상 |
||
당선작 |
- 최우수상: 1개 |
- 최우수상: 1개 |
설계권부여 |
기타입상작 |
- 우수상: 1개 |
- 우수상 : 1개 - 장려상 : 1~3개 |
설계권부여시 보상금적용 제외 |
보상비용 |
- 예산의 1/3 |
- (우수상) 보상예산의 4/10 - (장려상) 고득점순으로 예산의 3/10, 2/10, 1/10 |
|
※ 2등 이하 업체에게 설계권 부여시 보상금 적용 제외
※ 제출작품수 2개일 경우 보상금은 아래 2가지 조건 만족시 지급
① 당선작 선정시
② 우수상은 전체 심사위원 중 1등 득표를 20%이상 획득시
※ 제출 작품수 3개 이상일 경우, 1차심사 시 심사위원의 20%이상 추천시 지급
인센티브
Best of Best 선정 : 건축적 모티브와 주거의 기능을 가장 창의적으로 구현한 최고 작품 선정
인센티브 : 각 컨소시엄 작품을 평가하고 계획에 실질적으로 참여한 해당 컨소시엄 전체(건축사사무소)에 ‘21년 추가당선기회 부여
※ Best of Best 선정 및 인센티브 제공은 공모 취지에 적합하고 창의적인 건축물 구현 여부(별도평가 진행)에 따라 미적용할 수 있음
설계계약
설계단계
계획설계 및 기본설계, 실시설계(견적완료)로 구분한다.
세부일정은 향후 본공고 참조
사후설계관리(설계관리용역)
설계단계(본 용역) 준공 후 현장여건 변동에 따라 발생 가능한 인허가 변경 및 설계관련 추가과업 수행을 위하여 진행하는 용역을 말한다.
과업내용 및 세부일정은 향후 본공고 참조
지적재산권
입상작에 대한 저작재산권은 저작권법에 따라 별도 협의 한다. 다만, 당해 건축설계공모와 관련한 전시, 홍보 등은 별도 협의 없이 할 수 있다.
작품전시 및 반환
제출된 응모작품은 입상작 발표 후 일정기간 동안 보유하여 전시할 수 있다.
작품반환은 반환 통지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응모자가 회수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제반비용은 응모자가 부담한다.
기간 내 미회수 작품에 대하여는 공사에서 임의로 처리한다.
제출된 설계도집은 반환하지 않으며 USB 메모리는 응모작품 반환시 응모자에게 반환한다.
주요특화설계방향
기본방향
본 공모는 ‘LH 본·지사+전문가 그룹+수요자·객관화 그룹의 Co-work 협업체’가 ‘지역만의 이야기가 흐르는 주거단지 구현’을 목표로 추진 중인 프로젝트로서, 기존과 달리, 다양한 맞춤형 자료[별첨1]를 발주자가 사전제시하고 설계공모를 통하여 자료 속 요소들을 물리적인 공간으로 유기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임
‘시간의 문’이야기 ‧ 다양한 상상력 |
|
수요분석 ‧ 수요 구체화 |
|
정체성 마인드맵 ‧ 독창적 아이디어 |
|
계획 Guide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포함) |
특히, 사전 제공예정인 지역만의 이야기가 계획·설계상의 강력한 모티브로 작용하여 공간과 디자인에서 연속성 있게 제시됨으로서 우리만의 주거단지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임
이야기 구현 매개로서, 「옥외공간」 · 「부대복리시설」 · 「일반 주거동 공용공간」 · 「특화 중저층 주거(전용+공용공간)」 · 「Outdoor Furnitures(사인물, 장식, 표식 등)」 5개 요소를 통한 계획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함[2.5 모티브 구현을 위한 5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참조]
※ 제공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우리공사의 사전승인 없이 본 자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으며, 무단복제하면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설계방향(중요)
|
<기존과 차별화된 공모 설계방향> |
|
|
|
|
○ 획일화된 아파트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지역만의 정체성을 살린 계획을 하고 컨소시엄별로 이야기가 흐르는 단지가 될 수 있도록 블록별 유기적인 계획을 한다. ○ 사전 제공자료를 모티브로 하여 공간 및 디자인에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설계한다. ※사전제공자료 : ①‘시간의 문’ 이야기, ②수요분석, ③정체성 마인드맵, ④계획 Guide(중저층 주거동 계획 포함) ○ 수요분석 자료에서 제시한 예상 입주자의 분포와 특성을 구체적 목표 대상으로 보고 계획한다. ○ 제공된 중저층 계획설계를 각 블록별로 다른 컨셉을 적용하여 계획한다.([별첨1] 및 “2.4 모티브 구현을 위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참조) ○ 주어진 부대복리시설 컨셉(“2.4 모티브 구현을 위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참조)을 참조하여 블록별 커뮤니티를 특화하고 다양한 지역주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신혼희망타운 7대 추진전략에 최적화된 계획을 구상하여 설계한다.
신혼희망타운 종합보육센터 스페이스 프로그램과 각 블록별 부대복리시설 컨셉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신혼희망타운 내의 행복주택은 장기임대주택 관련 법령(주거약자형)을 준용하되 주택평면 및 마감기준 등은 신혼희망타운 분양주택 설계기준과 동일하게 계획한다.
친환경주택의 건설을 위하여 생태환경을 고려한 녹지환경조성, 단열 및 자연환기 등을 통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환경친화적인 계획기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친환경 주택 의 건설기준 및 성능』에 부합토록 설계한다.
지구단위계획, 각종영향평가 사항,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 지자체 조례 등 관련법규 등 을 준수․반영하여야 한다.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및 및 「건강친화형주택 건설기준」,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등에 부합토록 설계한다.
「녹색건축인증」 및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 「홈네트워크건 물 인증」 등 각종 인증 및 평가를 득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주택 생활소음(거실, 화장실, 엘리베이터 등) 저감방안을 반영하여 설계한다.
단지 굴착깊이는 계획고(F.L)에서 10M이하로 계획한다. 집수정 및 E/V PIT는 제외하며, 전기실. 발전기실은 포함한다.(위반시 감점)
특화방안(중요)
사전제공자료[①‘시간의 문’이야기, ②수요분석, ③정체성 마인드맵, ④계획 Guide(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포함)]를 참조하여 각 블록별로 테마를 선정하고 이와 연계한 특화방안을 제출한다. 특히 각 블록별 선정된 테마는 ‘시간의 문’ 이야기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야 하며 공모취지에 적합하게 유기적이고 다양한 건축계획이 될 수 있도록 특화를 제시한다.
※ 계획 시 ‘시간의 문’ 6개 이야기에 대하여 추출된 모티브는 블록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에만 이야기별로 6개의 테마에 맞추어 블록별 계획을 한다.(2.4.1.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참조)
블록 내 다양한 공간과 디자인에서 이야기 속 여러 요소와 사전 제공자료들이 연속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ex. 이야기 전개에 따르는 보행동선, 공간 및 디자인)
5개 요소[①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②일반 주거동 공용부위, ③옥외공간, ④outdoor Furniture, ⑤부대복리시설]에 사전 제공자료들의 내용과 지역 정체성을 담은 구체적인 디자인 특화방안을 제시한다.(2.4. 모티브 구현을 위한 5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참조)
모티브 구현을 위한 5개 요소별 계획 의무사항 등(★ 중요, 위반시 감점)
※ 본 사항은 특화방안 중 5개 요소(①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②일반 주거동 공용부위, ③옥외공간, ④outdoor Furniture, ⑤부대복리시설)에 대한 “공모의도”와 “의무사항”을 중점적으로 명기한 사항으로 일반적인 공모방식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반드시 숙지하고 계획한다.(5개 요소에 대하여는 “일반 설계도집” 외에 “5개 요소에 대한 특화 계획도집”을 별도로 제출)
※ 공모취지와 연계하여, 보행레벨의 동선과 공간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Human Scale의 인식 가능한 공간감을 계획안에 반영코자 보행레벨에서의 축소모형을 판넬로 제출하여야 한다.
|
<모티브 구현을 위한 5개 요소> |
|
|
) |
|
○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 “계획 Guide”에서 제시한 중저층 주거동 계획(블록별 세대수의 10~20%, 8층 이하) (‘계획 Guide에 따른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외에도 중저층 주거동을 계획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 주거동 계획(일반 중저층 주거동 계획) 기준을 적용해야 함]
○ 주거동 공용부위 : 위의 “중저층 주거동 계획” 외에 “일반 주거동”의 공용부위 (ex. 필로티, 1층 주출입구, elev실 및 계단실 등 코어, Mass, 입면, 난간, 지붕 등]
○ 옥외공간 : 조경, 오픈스페이스, 보행로 및 차로 등 옥외시설 및 공간
○ Outdoor Furniture : 사인물, 장식물, 문주, 계단실, 담장 및 돌출물 등 Human Scale Factors
○ 부대복리시설 : 종합보육센터, 상가, 경비실, 관리사무소 등 공용 건축물 |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세대전용 및 주거공용 모두 포함)
공모의도 : 휴먼 레벨에서의 창의적 공동주택 디자인을 통하여 획일적인 아파트의 형태를 탈피하고, 모티브를 통한 다양한 특화 요소들을 주거공용부위 뿐만 아니라, 세대 전용공간까지 끌어들인 공간계획을 구현코자 함
의무사항
구분 |
컨소시엄 A |
컨소시엄 B |
||||
A-5 |
A-6 |
A-7 |
A-8 |
A-9 |
B-1 |
|
중저층 주거동 계획 idea |
시간의 문 |
시간의 문 |
||||
① 소원의 문 - 물 ② 열정의 문 - 빛 ③ 응원의 문 - 바람 |
① 상상의 문 - 책 ② 공감의 문 - 마당 ③ 도전의 문 - 별 |
제공된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idea에 대하여 이야기를 가미한 계획안으로 발전시키고 이를 특화계획도로 제출하여야 한다. (미제출시 감점)
※ 블록별로 다른 컨셉의 특화 중저층 주거동 계획 idea를 의무적으로 하나씩 구현한다.
※ 계획설계 아이디어의 개념과 디자인 원리 등을 준수하며 발전시킨다.
※ 지구계획 등 선행계획과 이야기의 전개, 블록간 연계성, 단지 전체적 조화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위치에 배치한다.
※ 목표공사비,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계획 규모 : 블록별 전체 세대수의 10% ~ 20%에서 계획 및 최고층수 8층 이하 계획(위반시 감점)
일반 주거동 계획(주거동 공용부위)
공모의도 : 주거동 공용공간, Mass, 색채 & 재료, 입면 등에 사전 제공자료들의 건축적 모티브 내용이 개성있는 물리적 공간으로 연속되어 나타나게 함으로서 주거동에서의 획일적 공간감을 피하고자 함. (세대 전용부위는 미포함)
의무사항
주거동의 공용부위(필로티, 주출입구, 계단실, 엘리베이터홀, 입면, 색채, 재료 등)에 대하여 특화요소를 계획하고 이를 특화계획도로 제출하여야 한다.(미제출시 감점)
※ 목표공사비,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계획 규모 : 전체 세대수의 80% ~ 90%에서 계획(위반시 감점)
옥외공간(인접 기반시설과 연계한 계획 포함)
공모의도 : 모티브에 대한 표현요소가 매우 강한 조경, 오픈스페이스, Street(보행로, 차로 등), 옥외 Program 등 옥외공간*에 단순한 공간구획과 네이밍이 아닌 제공된 이야기(마인드맵, 수요분석 자료 포함)에 기반한 공간과 디자인이 연속하여 구현됨으로서 입주자의 공간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강화코자 함.
* 부대복리시설 중 건축물을 제외한 공간, 시설(도로, 놀이터 등) 포함
의무사항
사전 제공자료들을 모티브로 하여 다양하고 유기적인 옥외공간을 계획하고 이를 특화계획도로 구체적으로 담아 제출하여야 한다. (미제출시 감점)
이야기 구현이 필요한 경우 블록별 대지와 인접한 기반시설(가로, 공원, 녹지 등)과 연계하여 조경특화계획이 가능하며, 특히 컨소시엄 A는 A-5, A-6BL 사이 근린공원 일부(아래 a), 컨소시엄 B는 A-8, A-9BL 사이 근린공원 일부(아래 b)에 대한 조경특화, 동선계획 등을 의무적으로 제안한다.(미제출시 감점)
※ 목표공사비,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Outdoor Furniture
공모의도 : 문주, 장식물, 사인물, 지하구조물 돌출물, 계단실, 조형물, 담장 등 exterior 요소 및 옥외의 다양한 구조물은 이야기 내 다양한 요소와 상징성을 담아내기에 매우 주요한 요소로서, 제공된 이야기(마인드맵, 수요분석, 중처층 계획설계 자료 포함)와 연계한 공간계획을 더욱 풍성하게 하여 입주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과 기억을 강화코자 함.
의무사항
① 사전 제공자료를 모티브로 하여 개성있고 다양한 Outdoor Furniture를 계획하고 특화계획도로 구체적으로 담아서 제출하여야 한다.(미제출시 감점)
※ 목표공사비,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부대복리시설(공용 건축물) 계획(주거동 외 건축물 모두 포함)
공모의도 : 2.4.3에서 설명한 옥외공간과 더불어, 부대복리시설(보육, 도서관, 피트니스, 상가, 관리사무소, 경비실 등 부대복리시설 中 실내이용이 가능한 건축물로 한정)은 차별화된 주거의 경험과 기억을 담아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이야기의 공간적 구현은 물론 수요분석 및 마인드맵에서 보여지는 입주계층의 다양한 공동체적 니즈와 개인적 선호행위들을 실내 또는 옥외와 연계하여 담아내고자 함
의무사항
사전 제공자료들을 모티브로 하여 부대복리시설(공용 건축물)의 공간 및 디자인계획은 물론 입주자의 선호 행위를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고 이를 특화계획도로 제출하여야 한다. (미제출시 감점)
특히, 각 블록별 필수시설(3.3.5. 복리시설 참조) 이외에, 컨소시엄별로 제시된 아래의 테마를 강화한 공간 및 프로그램(순서에 관계없이 컨소시엄 내 각 블록별 한 테마씩 특화)을 특화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구분 |
컨소시엄 A |
컨소시엄 B |
||||
A-5 |
A-6 |
A-7 |
A-8 |
A-9 |
B-1 |
|
테마 |
① 스포츠 ② Studio(개인공간, 자기개발) ③ 놀이 |
① 교육 ② 활발한 교류(공방, 카페) ③ 가족, 힐링 |
※ 지구 내 각 블록별로 특화된 취미 등 활동공간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서 지구내 입주자 및 사용자가 소득계층에 관계없이 선호하는 행위 등으로 소셜믹싱을 유도하고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킴으로서 커뮤니티 관리 및 활성화 환경을 마련코자 함
※ 블록별로 다른 테마의 공간 프로그램 및 디자인 계획을 의무적으로 구현한다.(위반시 감점)
※ 상가 및 복리시설에서 제시한 규모 내에서 계획한다.(위반시 감점)
※ 목표공사비,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기타사항(보행레벨 축소모형 제출)
제출의도 : 공모취지와 연계하여, 보행레벨의 동선과 공간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휴먼레벨(스케일)의 인식 가능한 공간감을 계획안에 반영코자 함
※ 매스 위주가 아닌 동선 및 공간의 연속성을 제시
의무사항
단지내 보행자 레벨의 축소모형을 제시하여야 한다.(미제출시 감점)
※ 특화계획도 제출매수, 축척 등은 세부내용은 본공고 참조.
※ 용역설계공고 사전예고 관련하여 제공자료는 lh u-Cloud (http://user-lhcloud.lh.or.kr/(게스트) ID : smkim07@lh.or.kr / PW : kyungsan1) 에서 Download 하시기 바랍니다. |
'택지지구 > 경산 대임지구(임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산 대임지구] 건축물에 관한 계획도 (0) | 2020.07.10 |
---|---|
경산 대임지구 토지이용계획도_화질개선 (0) | 2020.07.09 |
경산 대임지구 지구단위계획도 (0) | 2019.11.22 |
경산대임지구 지주들 "토지 재감정 하라"...강력 반발 (0) | 2019.11.22 |